근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매체의 발달과 문명의 이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구비전승 문학의 맥이 끊어졌다는 설명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내가 보기엔 아니다. 여전히 구비전승 문학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곳이 있으니, 아이러니컬하게도 그곳은 문명의 이기를 개발, 생산하는 이공계다. 식사자리 술자리 간식자리 야식자리 등에서 주워들은 구비전승들이 사라지는 것이 안타까워 건망증의 공격을 받기 전에 기록해두려고 한다.
펴기
이공계 사람이라면 내용은 미묘하게 다르지만 들어본 적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 구비전승 이야기들은 비슷한 계통의 전공자들에게 쓴웃음을 유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공계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는 도통 아무 재미가 없다는 것도 특징이다.
그 첫번째로 소개하는 것이 메피스토펠레스에게 영혼을 '팔려고 했던' 수학자 이야기다.
어느 수학자가 '20세기의 해결되지 못한 난제들' 중 하나를 붙들고 씨름하고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만 있다면 악마에게 영혼이라도 팔겠어!"
그러자 메피스토펠레스가 수학자의 앞에 나타났다.
"정말 영혼을 팔겠는가?"
"이걸 증명해준다면 기꺼이 영혼을 팔겠네!"
수학자는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 메피스토는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어디 볼까?"
"이 문제를 이해하려면, 이거랑 이거랑,...... 또 이거. 이렇게 공부하면 일단 문제가 뭔지 감을 잡을 수 있을거야. 자네는 위대한 악마 아닌가. 그럼 기대하겠네."
수학자는 메피스토에게 책 한 더미와 논문 두어 뭉치를 주고 꽃무늬 남방에 반바지를 입고 연구실을 떠났다.
그리고 3년 뒤. 온갖 서류뭉치와 담뱃재가 수북한 재떨이 뒤에 쓰레기 더미에 파묻힌 것은 메피스토였다. 스키복 차림의 수학자가 문을 벌컥 열고 들어왔다.